TIL

· TIL
최종 프로젝트 전에 진행하는 마지막 프로젝트의 주제는 트렐로와 비슷한 프로젝트 관리 프로그램이다. 트렐로를 오랜만에 쓰면서 기능을 분석하고, API 명세를 만들고 ERD를 설계했다. 이것도 여러 번 하니까 속도가 붙었다 ㅋㅋㅋ.. 트렐로에서 workspace의 보드와 관련된 API를 담당하기로 했다. 이제 CRUD는 익숙해서 그냥 만드는 편인데 조회 성능 최적화를 신경써서 만들어보려고 한다. 테스트 코드 만든 후에는 CI/CD도 좀 건드려봐야지.
· TIL
JPA를 사용할 때 N+1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과 해결 방법에 대해서 공부했다. 여러 케이스와 해결 방법을 정리한 글을 쓰고 있다. QueryDsl 사용법을 공부하고 있다.
· TIL
오늘 한 일 알고리즘 문제 1개 풀었다. Spring boot에서 redis를 사용하는 방법을 공부했다. 조금 더 공부하고 정리해서 글을 써야겠다. 데이터 중심 애플리케이션 설계 책을 샀다. 이제 CRUD는 좀 익숙해진 것 같아서 다른 기술들과 더불어 설계 방법도 배워야 할 필요성이 느껴졌다. 이 책도 읽으면서 인상깊은 내용은 블로그에 공유해야지.
· TIL
어제 깜박하고 한 일 정리를 안했다 ㅋㅋ... ㅠㅠ 오늘 한 일 DBMS의 트랜잭션은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공부했다. 정리해서 글 써야지.. 알고리즘 문제 1개 풀었다.
· TIL
오늘 한 일 Spring Data JPA를 쓰는데 쿼리 메소드로 여러 연관관계를 표시하는게 복잡해서 JPQL을 공부하고 사용했다. 조금 복잡한 조회 조건(좋아요 누른 글 목록을 얻는데, 글 작성자가 비공개 계정이라면 얻을 수 없다)을 쿼리로 작성하려고 하니 서브쿼리 때문에 가독성이 많이 나빠졌다. 그래서 서버에서 글 필터링 조건을 처리할지 고민했는데, 글이 많아지는 경우에 서버가 처리하는 것보다 DB에서 처리할 때 인덱스를 걸어서 가독성은 나쁘지만 조회 속도는 최적화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. 그냥 흘깃 봐도 아래의 쿼리는 보기가 싫어진다.. 더 가독성 좋은 쿼리를 위해서 다음엔 QueryDsl를 사용해야겠다. // 좋아요를 누른 글 목록 조회(글 작성자가 비공개 상태라면 팔로잉 중일 때만 조회) @Que..
· TIL
오늘 한 일 Spring boot가 jackson에 추가하는 설정을 공부했다. gradle로 빌드할 때와 intellij idea로 빌드할 때 jackson의 직렬화/역직렬화에 필요한 생성자와 접근자가 달라지더라.. SNS 프로젝트에 좋아요와 관련된 기능을 개발했다. 유저가 여러 글에 좋아요를 할 수 있기 때문에 N:M이라 유저-좋아요-글을 1:N:1로 풀었다. 알고리즘 문제 1개 풀었다.
도_유
'TIL' 카테고리의 글 목록